변수 할당
ㅇ 변수에 값을 저장할때 다음과 같이 a 변수의 내용을 b에 담을때, a = [1,2,3] b = a a[1] = 4 print(a) # [1, 4, 3] print(b) # [1, 4, 3] b 의 값도 수정이된다. b = a 는 a 의 내용을 b 에 복사 하는것이 아니라 a의 주소를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. a의 값만 b에 할당하고 싶다면 다음과같은 방법이 있다. 1. [:] 사용 a = [1,2,3] b = a[:] a[1] = 4 print(a) # [1, 4, 3] print(b) # [1, 2, 3] 위 같은 경우 a의 값을 잘라서 새로운 값을 만들기때문에 b에는 a의 주소가 아닌 새로운 주소값이 저장된다. 2. copy 모듈, 메소드 사용 모듈 사용 from copy impor..
2023. 9. 7.
파이썬 자료형 - 튜플, 집합, 딕셔너리
ㅇ 튜플 선언 a = (1,2,3) t = ('a', 'b', (1,3)) print(type(a)) print(type(t)) 튜플은 수정이 불가능. ㅇ 집합 선언 s1 = set([1,2,3]) print(type(s1)) # set s2 = {1,2,3} print(type(s2)) # set - 집합은 순서가 없다. s1 = set('hello') print(s1) # {'o', 'e', 'l', 'h'} 따라서 위처럼 순서가 없고 중복이 없어지며 인덱스로 접근이 불가능 하다. - 교집합 a = set([1,2,3,4,5,6]) b = set([4,5,6,7,8,9]) print(a & b) # {4, 5, 6} - 합집합 a = set([1,2,3,4,5,6]) b = set([4,5,6,7,8..
2023. 9. 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