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python14

[python, venv, virtualenv] 파이썬 버전관리 - virtualenv 파이썬 가상환경이란?파이썬 개발시 프로젝트에 따라서 정해진 버전을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.따라서 버전관리를 위해 파이썬 가상환경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된다. 가상환경 종류- venv : 파이썬 표준 라이브러리로 설치없이 사용가능함. virtualenv의 경량버전으로 생각할 수 있음.- virtualenv : 외부 라이브러리로 설치가 필요함. venv 보다 빠르고, 확장성이 높음. 간단한 프로젝트라면 venv 를 사용해도 무방하나 더 높은 확장성과 다양한 파이썬 버전 지원이 필요한 경우 virtualenv가 더 적합할 수 있음. venv1. 설치venv는 Python 3.3 이상 버전에 내장되어 있어 별도 설치가 필요 없습니다.2. 가상환경 생성python -m venv 가상환경이름3. 활성화Windo.. 2023. 9. 12.
python 함수 함수 선언 def 예약어를 사용한다.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수행문장1 수행문장2 ... 더하기 함수 만들어 보기 def add(a, b): return a + b 매개변수 직접 지정 매개변수의 순서를 맞추지 않고 다음과 같이 직접 지정할 수 있다. def test(a, b): print(a - b) test(b = 3, a = 4) # 1 인자가 없을경우에도 괄호는 작성해야함. def say(): return 'Hi' 매개변수가 여러개일경우 매개변수가 몇개올지 모르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선언할 수 있다. def add_many(*args): result = 0 for i in args: result = result + i # 매개변수를 모두 더한다. return result print(.. 2023. 9. 12.
반복문 ( while, for ) while 반복문 조건문이 거짓일떄 까지 계속 실행문을 반복실행한다. a = 0 while a < 5: a += 1 print(f&#39;a = {a}&#39;) print(&#39;end while&#39;) # a = 1 # a = 2 # a = 3 # a = 4 # a = 5 # end while파이썬에서는 a++ 와 같은 연산자는 없다. while 문 빠져나가기 break 키워드를 사용하여 반복문을 빠져나올 수 있다. coffee = 10 money = 300 while money: print(&#39;커피를 팝니다.&#39;) coffee -= 1 money += 100 print(f&#39;남은 커피의 개수 : {coffee}&#39;) print(f&#39;잔액 : {money}&#39;) .. 2023. 9. 12.
자료형의 참/거짓, 논리연산자, 조건문 if 자료형의 참/거짓 자료형마다 해당 자료형의 객체가 비었거나 값이 없을때 조건문에서는 참또는 거짓으로 검사된다. 값 참/거짓 "python" true "" false [1,2,3] true [] false () false {} false 1 (0보다 클때) true 0 (0보다 작을때) false None false 논리 연산자 다른언어에서 사용하는 >, 0 else 'false' print(result) # true 2023. 9. 12.
변수 할당 ㅇ 변수에 값을 저장할때 다음과 같이 a 변수의 내용을 b에 담을때, a = [1,2,3] b = a a[1] = 4 print(a) # [1, 4, 3] print(b) # [1, 4, 3] b 의 값도 수정이된다. b = a 는 a 의 내용을 b 에 복사 하는것이 아니라 a의 주소를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. a의 값만 b에 할당하고 싶다면 다음과같은 방법이 있다. 1. [:] 사용 a = [1,2,3] b = a[:] a[1] = 4 print(a) # [1, 4, 3] print(b) # [1, 2, 3] 위 같은 경우 a의 값을 잘라서 새로운 값을 만들기때문에 b에는 a의 주소가 아닌 새로운 주소값이 저장된다. 2. copy 모듈, 메소드 사용 모듈 사용 from copy impor.. 2023. 9. 7.
파이썬 자료형 - 튜플, 집합, 딕셔너리 ㅇ 튜플 선언 a = (1,2,3) t = ('a', 'b', (1,3)) print(type(a)) print(type(t)) 튜플은 수정이 불가능. ㅇ 집합 선언 s1 = set([1,2,3]) print(type(s1)) # set s2 = {1,2,3} print(type(s2)) # set - 집합은 순서가 없다. s1 = set('hello') print(s1) # {'o', 'e', 'l', 'h'} 따라서 위처럼 순서가 없고 중복이 없어지며 인덱스로 접근이 불가능 하다. - 교집합 a = set([1,2,3,4,5,6]) b = set([4,5,6,7,8,9]) print(a & b) # {4, 5, 6} - 합집합 a = set([1,2,3,4,5,6]) b = set([4,5,6,7,8.. 2023. 9. 7.